요약력이란.5

반응형

!! 머릿속의 정보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법 !!

 

정보를 수집할 때는 주제에 딱 들어맞는 키워드를 모으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책은 어떻게 요약할까?

반드시 목차를 훑어봐야 합니다.

목차는 텍스트의 내용을 단적으로 나타낸 궁극의 요약입니다.

자신에게 필요한 페이지만 골라 읽을 수 있으며 필요한 정보를 손에 넣을 수 있을지 모릅니다.

그 장만으로 부족하다면 중요도가 높아 보이는 순서로 다른 장을 훑어보면 됩니다.

 

** 정독보다 선택적으로 읽는다.

소제목, 반복해서 등장하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훌훌 넘겨 보면 됩니다.

정독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부분은 읽는게 좋겠다 는 느낌이 들 때, 그 곳을 중점적으로 읽습니다.

 

** 하나라도 제대로 읽게다는 마음가짐은 필수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제대로 읽어야 겠다는 마음가짐입니다.

의식 없이 책을 읽으면 정보 수집의 효율은 높아지지 않습니다.

정보수집단계부터 이미 요약은 시작됐습니다.

이 과정에서 어떤 정보가 필요하고 필요하지 않은지 명확하게 구분하면 그 후의 요약 과정에서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 목표부터 시작해서 거꾸로 정리해라 !!

양질의 정보를 수집했다면 다음으로 할 일은 두번 째 단계인 정보 정리 입니다.

요약의 목적은 아웃풋을 통해 상대방에게 '가치 있는 정보' 를

전달하는 것이므로 목표부터 거꾸로 정리해 나가야 합니다.

 

그룹으로 나누기 -> 우선순위 정하기 -> 가설/실천/검증/수정

 

!! 상대방이 듣고 싶은 것부터 정리하라 !!

이상적인 목표부터 파악합니다.

 

상사의 니즈에 맞게 정보 그룹으로 나누고 정보의 우선순의를 정합니다.

 

!! 정보에 이름표를 붙이고 '그룹화 사고' !!

 

정보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정보의 그룹화 입니다.

그때그때 최적의 정보를 꺼낼 수 있도록 정보에 이름표를 붙여서 분류합니다.

 

우리가 핵심만 말하기 위해 정리하는 정보도 책상 위의 자료와 똑같습니다.

비슷한 정보끼리 분류하는 '그룹화'가 중요합니다.

 

!! 차근차근 구체적으로 분류하기 !!

머릿속에 그룹을 만들 수 있으면 질 높은 아웃풋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필요한 정보를 단번에 정리하는 그룹화 사고 !!

 

우선 큰 그룹에 있는 자료들을 다시 적절한 중간 그룹으로 나누고, 그중에서도 더 세분화한 그룹으로 나눠 나갑니다.

'큰 그룹화' 부터 '세세한 그룹화' 까지 정보를 정리할 수 있는 사람은 한번의 검색(명령)만으로 뇌에서 필요한 정보를 꺼낼 수 있습니다.

그룹화사고를 훈련해서 정보를 정리해둬야 합니다.

 

이 사고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평소에 의식적으로 모든 것을 묶어 보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의식할 수 있다면 그룹화는 이미 완료된 것입니다.

 

!! 죽어도 이 말만은 꼭! '우선순위 사고' !!

그룹화 사고와 동시 한 가지 더 갈고닦아야 하는 것이 '우선순위 사고' 입니다.

그룹별로 정리한 정보 중에서 필요한 정보를 고를 때 우리는 우선순위를 매깁니다.

 

!! 중요한 순서대로 말하기 !!

 

!! 핵심을 절대 놓치지 않는 정보 정리법 !!

우선 수집한 정보를 그룹화 합니다 -> 단편덕인 정보를 그룹화 하는데 주력하고 그 후 아웃풋을 위해 우선순위를 명확히 정합니다.

 

** 정보를 갱신하는 네가지 방법 **

정보는 생물이라는 의식이 강한 사람일 수록 하나하나의 정보에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갱신합니다.

과정 1. 그 정보가 유효한지 가설을 세운다.

과정 2. 1의 가설을 실천한다.

과정 3. 2의 실천 결과를 검증한다.

과정 4. 3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를 수정한다.

 

 

 

저자 횡성수설하지 않고 핵심만 말하는 법 - 야마구치 다쿠로 

반응형

'사고전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약력이란.7  (0) 2025.01.30
요약력이란.6  (0) 2025.01.29
요약력이란.4 (1단계. 정보수집)  (0) 2025.01.29
요약련이란.2  (0) 2025.01.29
요약력이란. 1  (0) 202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