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과거완료 진행시제는 그렇게 많이 쓰이지 않아 개념만 가볍게 이해하고 넘어가자 Last years, When I came here, Tom was building the house. Has Tom built it already? 작년에 여기 왔을때, Tom 이 그 집을 짓는 중이었지. Tom은 그것을 다 지은 상태야? Yes, he has. At that time, Tome had been building the house for 3 years. He finished building the hous in May this year. 응 그때는 Tom이 3년 동안 그 집을 지어오는 중이였지. 올해 5월에 그 집 짓는 것을 끝냈어. Then we can look around the house. 그럼 그 집을 지..
미래의 어떤 시점에는, 이미 어떤 일을 한 상태일 것이다. What are they building? 저 사람들이 짓고 있는게 뭐야? Ah, It's a shopping mall. 아. 그건 쇼핑몰이야. When will it be built? 언제쯤 그것이 다 지어질까? Next year they will have built it already. 내년 5월이면 그들이 다 지은 상태일 것이야. 미래의 어느 때에 어떤 일이 다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할 때 쓰는 말이다. 영어로는 Will have + p.p ~한 상태 일 것이다. will have : 상태일 것이다 p.p : ~한 과거 현재 미래 단순시제 built build builds will build 지었다 짓는다 지을 것이다 진행시제 be+ ing ..
가볍게 읽어보자. 도움이 될 것이다. 흔히 완료시제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부분이 완료, 경험, 계속, 결과를 구분하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한국어에는 완료시제가 없고, 적절히 해석할 방법이 없다고 생각했기 떄문에 완료시제를 4가지로 나누어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려고 노력했다. 사실 요건 무의미하고 쓸모없는 일이다. 완료시제의 다른 점을 설명하기 위한 수단이지 꼭 그렇게 분류를 해야 한다는 의미가 아니기 때문. 우리가 알고 있는 완료시제를 다음과 같이 나눠볼 수 있다. I have finished my work. 완료 I have been to New York. 경험 I have lived in Seoul. 계속 I have lost my watch. 결과 음 . . 해석을 해보자. I finished my..
Hi, jack. What were you doing at 8 yesterday? 안녕 잭 어제 저녁 8시에는 무엇을 하는 중이었어? I was watching TV at that time. 그 시간에, 나는 TV 를 보는 중이었어. So you didn't run by the riverside yesterday. 그래서 어제는 강변을 달리지 않았구나. 우리말로 이런 대화를 한다면 참 어색하게 들릴 것이다. 하지만 영어식 표현으로는 가장 자연스럽다. 과거의 특정 시점에서 어떤 일을 하고 있었다면 과거 진행형으로 표현해야 한다. was + 현재분사 (ing) were + 현재분사 (ing) 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하는 중이 었다. 과거진행형에서 중요한 포인트는 be동사만 과거로 만든다는 것이다. 현재분사인..
현재분사는 '~하는 중인', '~하는' 으로 앞장에서 배웠다. be동사는 '~이다' 라는것도 배웠다. 떨어지는 사과들 -> falling apples 그렇다면 떨어지는 중이다 문장으로는? The apples are falling. 사과들이 떨어지는 중이다. 현재분사 앞에 be동사를 붙이면 "~하는 중이다" 가 된다. 이것을 진행시제라고 한다. 해석은 반드시 ~하는 중이다 로 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하고 있다 라고 해석도 되지만 나중에 다른 시제와 연결할때 잘 맞지 않고 영작을 할 때 틀리는 경우 도 있다. 그러므로 반드시 "~하는 중이다" 라고 익혀두자.
영어로 미래시제를 표현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일단 기본적인 will 을 이용해서 표현하는 것을 이해하도록 합시다. 영어에는 동사 자체의 미래형이 없으므로 미래를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말이 필요한데 이것을 조동사라고 합니다. will 을 이해함으로써 다른 조동사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What do yo want to do for a living? 직업으로 무슨 일을 하고 싶어? I want to be a professor. I will teach students English. 난 대학교수가 되고 싶어. 학생들에게 영어를 가르칠거야. Then, you should study hard. 그러면, 공부 열심히 해야겠네. Yes, I know. 응. 알아 미래시제는 기본적으로 wil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