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는 영어식 어순으로 해석하라
영어는 각 말의 위치를 정해 놓은 것이다.
문장의 맨 앞에 "주어" 를 쓰고,
그 다음 주어가 어떤 일을 하느냐를 말해주는 "동사"
그 다음 내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주는 말들을 붙이는 방식.
"나는 사과를 좋아한다"
I like apples <주어+동사+목적어>
하지만 어순을 수학 공식처럼 무조건 외우지 말고 기본 순서만 확실히 이해 해두면 저절로 된다.
*
5가지 해석 방법
5개 형식으로 분류하는데 그중 3형식이 가장 중요하다.
3형식은 영어 문장의 대표형식.
동사만 결정되면 보어나 목적어는 알아서 들어가기 때문 -!
1형식 | s가 v 한다. 주어+ 동사 |
s + v |
2형식 | s는 c이다. 주어+동사+주격보어 |
s + v + c |
3형식 | s가 v한다 o를. 주어+동사+목적어 |
s + v + o |
4형식 | s가 v해준다 I.O에게 D.O를. 주어+동사+간접목적어+직접목적어 |
s + v + I.O + D.O |
5형식 | s가 v한다 o를 o.c하도록. 주어+동사+ 목적어+목적격보어 |
s + v + O + O.C |
주격보어: 주어를 보충 해 주는 말.
목적격보어 : 목적어를 보충 해 주는 말.
형식 안에 단어를 다 넣고도 더 보충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전치사의 도움을 받으면 된다.
문장 형식별로 쉬운 예문 하나씩 꼭 외워두면 좋다.
1형식 s+v
I live in Seoul.
나는 산다 서울에.
*전치사 다음부분은 형식에 넣지 않는다.
in이라는 전치사가 ~에 로 뜻을 만들어주기 때문에 형식요소로 취급하지 않는다.
2형식 s+v+c
She is a fashion model.
그녀는 패션모델이다.
*s는 c이다 라고 해석한다.
3형식 s+v+o
I like you
나는 좋아한다 너를.
4형식 s+v+I.O+D.O
I sent her a letter.
나는 보내주었다. 그녀에게 편지를
*어떤 동사들은 "~에게 ~를" 이라고 해석함.
5형식 s+v+o+o.c
She makes me happy.
그녀는 만든다 나를 행복하도록.
"그녀는 나를 행복하게 해준다" 의 뜻인데 영어의 어순과 느낌에 익숙해지려면
위처럼 "~도록" 으로 해석해야 한다.
★
5형식 문장은 해석이 다양하게 되는데 다음처럼 알아두면 편하다.
She makes me happy.
그녀는 만든다 나를 행복하도록.
S가 v한다. o를 o.c 하도록/이도록/되도록/하는/되는
실제 문장에선 3형식처럼 자연스럽게 해석하고 뒤에 오는 말에 "~도록" 이라고 붙여보면
쉽게 해석할 수 있고 영작도 쉽게 할 수 있다.
(1) 4형식문장
누구에게 무엇을 준다는 표현.
영어에서 먼저 오는 말은 "에게" 나중에 오는 말은 "을/를" 로 순서가 정해져 있는 동사들이 있다.
순서가 바뀌면 받는 사람과 주어지는 물건이 뒤바뀌게 되므로 혼동하지 않으려면 다음 순서를 익혀두자.
[4형식문장]
주어 + 동사 + 간접목적어(~에게) + 직접목적어(을/를)
I teach the students English.
나는 가르쳐준다 그 학생들에게 영어를.
I sent you an e-mail.
나는 보내주었다 너에게 이메일을.
I bought my friend the watch.
나는 사주었다 내 친구에게 그 시계를.
4형식 문장은 "누구에게 무엇을" 이라고 말할 때 쓰이는데
4형식에 쓰인 동사를 "수여동사" 라고 한다 (굳이 외울 필요 없음)
수여동사는 "준다" 보다는 "~해준다" 로 해석하는 것이 좋다.
꼭 "주다" 라는 뜻이 아닌 수여동사도 있으므로
"~에게" "~을/를" 이라는 두개의 목적어를 가지고 있다는것 염두해두자.
I asked him a question.
나는 물었다 그에게 질문을.
준다의 뜻은 아니나 2개의 목적어가 있음을 볼 수 있다.
(2) 4형식문장
"무엇을 누구에게 준다" 로 순서를 바꿀 수도 있다.
즉 4형식 문장은 3형식 문장으로 바꿀 수 있다.
4형식 문장의 직접목적어(을/를) 을 앞에 놓으면 된다.
I sent you an e-mail. (4형식)
나는 보냈다 너에게 이메일을.
-> I sent an e-mail to you. (3형식)
나는 보내주었다 이메일을 너에게.
4형식에서 3형식으로 변환해서 쓸 수 있는 동사들이 있다.
이런 "수여동사"는 순서대로 바꾸어 넣어주기만 하면 되지만,
3형식으로 바꿀 시 강제로 "~에게" 를 만들어줘야 하는데 이때 필요한 전치사가 to, for, of 이다.
★to 를 써서 ~에게 로 만들어 주는 동사 (직접적으로 상대방에게 뭔가 전달된다는 의미가 있는 동사들)
give 주다
send 보내주다
tell 말해주다
teach 가르쳐주다
bring 가져다주다
show 보여주다
He showed me his new cell phone. (4형식)
-> He showed his new cell phone to me. (3형식)
그는 보여주었다 그의 새 휴대폰을 나에게.
★for 를 써서 ~에게 로 만들어 주는 동사 (간접적으로 상대방에게 뭔가를 해주는 경우의 동사들)
buy 사주다
find 찾아주다
get 갖게해주다
make 만들어주다
My father bought me the books. (4형식)
->My father bought the books for me. (3형식)
나의 아버지는 사주었다 그 책들을 나에게(나를 위해서)
*~에게라도 해도 해석은 되지만 for 의 의미를 살려 "~를 위해서" 라고 해석하면 좋다.
★of 를 써서 ~에게 로 만들어주는 동사 (요청의 뜻을 가진 동사들)
ask 물어보다/요청하다
require 요구하다
inquire 질문하다
I asked him a favor. (4형식)
-> I asked a favor of him (3형식)
나는 요청했다 호의를 그에게.
동사에 따라 뒤에 오는 말들이 결정된다.
그래서 각각의 단어마다 많이 쓰이는 표현을 익혀 두는 것이 좋다.
(회화를 위해, 독해를 위해 문장도 같이 공부해야 한다는 사실...단어책만 여러번 훑어 봤던 사람으로써 공감 백퍼..)
(1) 5형식문장
~도록 이라고 하면 쉬워진다
She makes me happy.
그녀는 만든다 나를 행복하도록
I asked them to be quiet.
나는 요청했다 그들에게 조용히 있도록.
He had the watch fixed.
그는 시켰다 그 시계를 고쳐지도록.
*그가 시계가 고쳐지도록 하기 위해 수리점에 맡겨 수리를 요청했다는 뜻
(이렇게 실제 영어는 암묵적인 문장들을 요긴하게 쓴다.
왜 문장을, 단어를 이미지화 시키며 공부를 해야 하는지 이해시켜주는 항목.
그러나 난 여전히 저 문장에 태클을 건다. 왜 문장에 수리점이 안나오냐고 -_-!!! 말 안하면 내가 어떻게 알어!!)
He made his son a doctor.
그는 만들었다 그의 아들을 의사로 (의사가 되도록/의사이도록)
*여기서 문화의 차이점을 명백히 확인할 수 있다.
고로 나는 여기서 태클을 걸고 있다. 한국에서는 사람을 만들었다고 하지 않음. 사람이 무슨 물건이얏?!
Sad movies always make me cry.
슬픈영화는 언제나 만든다 나를 울도록
S+V+O+O.C (주어+동사+목적어+목적보어)
*인칭대명사에서 배운대로 me는 나를 /나에게 로 해석해야 한다.
이렇게 해석하는 습관을 들여야 영어의 규칙성을 습득할 수 있다.
5형식은 3형식처럼 해석하고 문장 끝에 오는 목적격 보어를 "하도록/되도록/이도록/하는/되는" 이라고만 해석하면 된다.
영어를 공식화하여 익히려 하지 말고 설명되는 개념들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많은 문장을 듣고 읽는 것을 연습하면 영어가 자연스럽게 체회 될 것이다.
영어를 우리말에 맞추지말고 우리말을 영어에 맞추자
'영어헬프유[독학러를위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문법독학:들어가기 앞서] 8. 시제의 중요성 ★시제를 바로 써야 말이 제대로 된다. (0) | 2022.06.02 |
---|---|
[영어문법독학:들어가기 앞서] 7. 영어식 어순 ★ 어순이 익숙해져야 물 흐르듯 해석이 된다. (0) | 2022.05.31 |
[영어문법독학:들어가기 앞서] 5. be동사 ★왜 be동사와 일반동사를 구분하는걸까? (0) | 2022.05.31 |
[영어문법독학:들어가기 앞서] 4. 인칭대명사★각각의 뜻을 하나하나 외워야 한다😖 (0) | 2022.05.31 |
[영어문법독학:들어가기 앞서] 3. 관사 ★평범과 특별함의 차이 (0) | 2022.05.27 |